본문 바로가기

tour

서브웨이가 13조원에 매각된다는 소식이다.

반응형

샌드위치 맛집으로 유명한 서브웨이(Subway)가 13조 원에 매각된다는 소식이다. 이제 배스킨라빈스, 던킨도넛과 한 솥밥을 먹게 된다고 한다.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서브웨이(Subway) 샌드위치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

 

서브웨이
출처 bing

 개인적으로 맥도널드나 버거킹보다 더 좋아하는 서브웨이(Subway) 매장 모습 



지난 8월 2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소식에 따르면 미국 사모펀드 로어크 캐피털이 서브웨이(Subway) 창업주 가족들로부터 회사 지분을 인수하기로 합의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기사 내용에 구체적인 매각 조건 등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모펀드 로어크 캐피털이 제안한 인수 가격이 약 96억 달러(약 12조 7000억 원)에 달한다고 보도하였다. 



이제 서브웨이(Subway) 최고경영자 John Chidsey는 이번 지분 매각 타결을 계기로 세계 곳곳에 매장 수를 60,000 개로 늘리는 등 사업을 더욱 확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한다. 



이번에 서브웨이(Subway) 지분을 인수하는 로어크 캐피털은 레스토랑과 식품 관련 투자를 진행해오고 있는 미국 애틀랜타 소재의 사모펀드 운용사이다. 로어크 캐피털은 현재 우리에게도 친숙하고 잘 알려져 있는 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 던킨도넛, 프레첼 체인 앤티앤스, 샌드위치 체인 아비스와 지미존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 있는 서브웨이(Subway) 매장 수는 약 37,000여 개다. 출시 초기까지만 하더라도 신규 매장 출점에 속도를 내면서 세계 최대 식당 체인으로 평가받기도 했었으나, 피타핏을 비롯해 경쟁 샌드위치 체인점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확장 속도가 다고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브웨이(Subway)는 물리학자였던 피터 벅이 1965년 친구 프레드 델루카에게 1,000달러를 빌려 미국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에서 첫 샌드위치 가게를 오픈하면서 서브웨이(Subway)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2019년 John Chidsey CEO에게 회사 경영을 맡기기 전까지 두 집안이 수십 년 동안 회사 경영을 맡아왔었다.


갑자기 궁금해져서 1960대 1달러의 가치가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얼마정도되는지 체크해 보았는데, 1906년대 1달러는 약 15,000 원에 해당된다고 한다. 즉, 피터 벅이 친구한테 빌린 돈은 현재 가치로 약 1,500만 원 정도 되는 것이다.

 

최초의 서브웨이 매장 모습
출처 bing

 

1960년대 최초로 오픈했었던 서브웨이의 모습은 어떤지 한번 찾아보았는데, 위 사진이 1965년 오픈해서 운영하던 서브웨이 매장 모습이다. 흘러간 할리우드 영화에 나올 법한 분위기인 듯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