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강원에 예상하지 못했던 악재가 발생하였습니다. 최근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조금씩이나마 회복하려고 노력하던 중에 운항 중단이라는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문제는 보유 중인 2대의 항공기 중 대형기종인 A330이 긴급히 수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5월 초부터 중순까지 A330 투입 노선의 항공권 판매가 불가하게 되는 것이다.
플라이강원은 이제 남아있는 B737 1대로 약 10일 이상을 버터야 하는 상황인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정확하게 10일 후 A330이 복귀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플라이강원이 5월 초부터 중순까지 국제선 운항을 잠정 중단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기에 앞서서 보잉 737 2호기가 리스료 체납으로 항공기 리스사와 갈등 끝에 반납하기로 결정한 바 있었다.
보잉 737 2호기 반납 후 보잉 737 1대와 A330 1대, 총 2대로 운항을 해왔었는데, 이제 A330 기체에 문제가 생겨 긴급하게 수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국제선 운항 계획에 큰 차질이 발생하게 되었다.
플라이강원은 A330 수리 상황 발생 전에 항공기 2대로 양양-제주 노선과 대만 타이베이, 베트남 하노이, 호찌민, 일본 나리타공항 그리고 필리핀 클락 노선을 취항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4월 12일 플라이강원 홈페이지는 5월 초순부터 국제선 5개 노선의 항공권 판매를 진행하지 않고 있었으며 운항 스케줄도 비어있는 상태였다.
현재 양양-호찌민 노선을 주 3회로 운항하고 있지만 5월 3일 이후로는 운항 스케줄이 없으며, 양양-하노이 노선도 주 3회 스케줄이지만, 5월 8일부터 17일까지 운항 스케줄이 없다. 매일 운항하던 대만 타이베이 노선도 5월 7일부터 운항 일정이 보이지 않는다.
해당 노선은 모두 A330이 운항하던 노선들이다. 비운항의 결정적인 이유는 최근 A330이 이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에 바퀴가 강하게 부딪치는 소위 하드랜딩이 발생하면서 랜딩기어(착륙기어)가 심하게 손상되어 수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플라이강원 A330 랜딩기어를 완전히 분해해서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상황을 추측하고 있는데, 수리기간은 약 10일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양양-하노이 노선의 비운항 예고 기간과 비슷한 기간이다.
이외에 보잉 737이 투입되는 양양-나리타 노선도 5월 8일 이후로는 운항 일정이 고지되지 않고 있고, 판매도 중단된 상황이다. 주 3회로 운항하던 양양- 필리핀 클락 노선도 5월 1일부터 6월까지 운항 스케줄이 명확하지 않다.
플라이강원은 A330 랜딩기어를 수리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당장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손상된 것은 아니다 라면서, 신속한 수리를 진행하기 위해 국내외 항공기 수리업체들을 수배하고 있지만, 요즈음 항공기 정비 및 수리가 집중되면서 수리시간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일단 5월 중순까지 수리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이 말은 수리시간이 확보되는 경우에 약 10일 정도 소요된다는 것이므로 플라이강원이 목표로 하는 5월 중순에 A330이 복귀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그러면서 보잉 737 1대는 현재 문제없지만, A330 수리로 인해 스케줄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아직 5월 국제선 항공권 판매를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플라이강원은 지난 3월 양양-중국(베이징, 장춘, 웨이하이, 하이커우) 4개 노선의 운항을 위한 경영허가를 취득하였는데, 플라이강원은 2023년 내에 양양-중국 노선 운항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일본 후쿠오카와 오사카, 몽골 등 다른 노선 취항도 준비 중에 있다고 한다. 이러한 계획이 모두 차질 없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2023년 말까지 여객기 5대와 화물기 2대 등 총 7대의 항공기가 필요하고 하는데, 신규 투자가 절실해 보인다.
'tou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카드 여행라운지 스탬프 이벤트 알아볼까요. (32) | 2023.04.28 |
---|---|
백종원 유튜브 채널에서 배고파 홍콩 시리즈 공개 (42) | 2023.04.28 |
트립닷컴의 마카오 프로모션 소개합니다. (58) | 2023.04.27 |
에어로케이 근황을 알아봅니다. (24) | 2023.04.27 |
제주 입도세 움직임에 관광업계 난색표명하다. (2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