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ur

신라면세점이 창이공항에서 날개 달았다.

반응형

신라면세점이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점 계약이 2028년까지 연장됨으로써 코로나 앤데믹 시기에 안정적인 공항점 효과를 보장받게 되었다.

 
지난 2분기 싱가포르 창이공항을 비롯하여 글로벌 공항 면세점에서의 약진으로 깜짝 영업이익을 달성한 신라면세점은 하반기 인천공항 오픈 효과와 더해지면서 공항점 모멘텀을 강화하고 있다.

 

신라면세점
출처 asiae

 싱가포르 창이공항 내 신라면세점 듀플렉스 매장 전경

 

2024년 3월에 만료예정이었던 창이공항 신라면세점 운영 계약이 4년 더 연장되었다.


지난 2014년부터 10연 운영권을 확보하고 있던 신라면세점은 이번 연장으로 2028년 3월까지 추가 입찰 없이 계속해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공항 면세점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었다는 점이 반영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창이공항과 신라면세점 간의 신뢰 관계도 계약 연장에 도움이 되었다는 분석이다.
 

국내를 포함하여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 3대 공항에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는 신라면세점 입장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거점 공항인 싱가포르 창이공항에서 큰 변수 없이 중장기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호재일 수 있다.

 
신라면세점은 듀플렉스 매장이 있는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구조적인 강점과 향수, 화장품 분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사업자라는 점 등을 내세워서 글로벌 공항 매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호텔 신라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672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6% 증가하였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면세점 영업이익이다. 432억 원으로 192% 증가하면서 호실적을 이끈 것이다.
 

시내점 매출은 중국 보따리상 수요 감소로 지난해 동기 대비 63% 줄어들었으나, 코로나 앤데믹으로 실수요가 많은 공함점 매출은 204% 급증한 영향이 컸다고 말한다.


2분기 국내 공항 소매 고객 비중은 40%까지 확대되었다.

 
싱가포르외에도 홍콩, 마카오 등의 해외 면세점은 여행 수요 회복으로 150억 원가량 영업 이익이 증가하였다. 지난 2분기 국내와 해외 영업이익 기여도는 각각 50%씩으로 추정된다.

 
이제 금년 하반기부터는 인천공항 추가 실적 개선도 기대되고 있는데, 신라면세점은 지나달인 7월부터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에서 영업을 개시하였다.
 

약 2,700평 규모의 매장에서 400개 브랜드를 선보이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디올, 샤넬, 에스티로더, 설화수 등의 화장품, 향수 브랜드와 샤넬, 에르메스, 구찌 등의 럭셔리 패션 브랜드 및 밸런타인, 정관장 등 주류, 담배, 식품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듀플렉스 매장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매장 개편 작업을 통해서 2024년 중 그랜드 오픈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코로나 앤데믹의 가속화로 국내외 공항 면세점 소매 고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 신라면세점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반응형